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한국에서 2025년 현재 제공되는 주요 정부지원금(청년, 소상공인, 개인 및 가정 대상)의 핵심 정보를 정리해 드릴게요. 아래 항목별로 자격 및 신청 방법을 참고하세요.
1. 청년 대상 지원금
- 청년내일채움공제
중소기업 정규직 청년(만 19~34세)을 대상으로 2년 근속 시 최대 1,200만 원+이자 지원 - 청년도약계좌 (청년적금)
정부가 월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며 저축을 장려하는 적금 상품 - 청년내일저축계좌
저소득 청년을 위한 자산 형성 지원. 본인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에서 유형에 따라 월 10만~30만 원 매칭. 3년 총 수령액 최대 1,490만 원 (이자 포함)
신청 기간 예: 2025년 5월 2일 ~ 21일 - 청년 월세 지원
만 19~34세, 중위소득 기준 이하 청년 무주택자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 지급 - 청년 교통비 지원
지역별로 달라지며, 포인트나 환급 방식. 연 최대 30만 원 지원 사례도 있음 - 국민취업지원제도 (구직촉진수당)
취업 희망 청년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구직 수당 지급 - 지원금 중복 수령 여부
예: 청년수당 수령자가 청년내일채움공제, 적금, 교통비 등을 중복 받을 수 있는 사례 존재
2.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지원금
- 긴급 경영안정자금
매출 감소 등 경영난 소상공인을 위한 저금리 대출 (최대 2천만 원) - 소상공인 손실보전금
방역 등 조치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매출 규모별 최대 1천만 원 지급 예정 - 희망리턴패키지 / 폐업 지원금
폐업 소상공인 대상 취업 교육, 재창업 자금 최대 500만 원 및 컨설팅 제공 - 정책자금 융자 및 지원 프로그램
창업·경영 안정·고용 유지 목적의 자금, 멘토링, 멘토 연계 등 다양한 지원 제공 - 소상공인 공과금 바우처 (부담 경감 크레딧)
연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대상, 전기·수도·가스 등 공과금 최대 50만 원 크레딧 지급 (2025년 계속) - 50만 원 소상공인 크레딧
연매출 3억 원 이하 약 311만 소상공인에게 공공요금 및 사회보험료 납부용 크레딧 형태로 지급. 지급은 2025년 7월부터 순차적으로 진행 - 예비·초기 창업 지원
신사업창업사관학교, 생애최초 청년창업, 공공기술 창업사업화, 전통시장 청년상인 지원 등 여러 지원 프로그램으로 금전·교육·홍보 등 지원
3. 개인·가정 및 기타 계층 지원금
- 출산·육아 지원금
첫만남이용권: 2025년 출생 아동 대상 일시금 300만 원 또는 200만 원(지자체별 다름) 지급
육아휴직 급여도 상승—1.5년까지 지원, 상한액 증가 - 기초연금
만 65세 이상 저소득층 대상 월 최대 32만 원 (상위 변동 있음) - 아동수당 확대
대상 연령 0~만 9세, 월 10만 원 유지 - 에너지 바우처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 대상 전기·난방 요금 바우처 15만~35만 원 지급 - 부모급여 (영아수당)
만 0세 자녀 가정에 월 100만 원 지급 (지자체별 차이 가능) - 근로장려금 (근로·자영업 지원)
저소득 근로자 대상 연 최대 350만 원 지급 - 장애인 연금
중증장애인에게 월 최대 43만 원 지급 (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) - 긴급복지지원제도
실직, 질병 등 위기 상황 가구에 생계비·의료비 등 긴급 지원
4. 요약표
대상 대표 지원금 및 내용
청년 | 청년내일채움공제, 청년도약계좌, 월세·교통비 지원,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|
소상공인 | 긴급자금, 손실보전금, 바우처, 폐업지원, 크레딧, 창업·경영 지원 |
가정/개인 | 출산·육아, 기초연금, 아동수당, 에너지 바우처, 영아수당, 근로장려금, 장애인 연금, 긴급복지 지원 |
신청 방법 & 확인 꿀팁
- 신청 플랫폼: 대부분의 지원금 신청은 복지로, 정부24, 워크넷, 고용센터,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을 통해 가능
- 중복 신청 가능성: 일부 제도들은 중복 수혜 가능하므로 조건 체크 필수
- 정책 변동 주의: 지원 금액, 자격 기준, 신청 기간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식 웹사이트 확인이 중요합니다.
반응형